악성 소프트웨어 유형

2020-02-03

바이러스 : 프로그램에 기생해서 자신의 복제를 다른 프로그램으로 확산

: 자신의 복제를 다른 컴퓨터로 확산

논리 폭탄 : 조건 충족 시 트리거 작동함

트로이목마 : 생각지 못한 추가 기능(악의적) 포함하는 프로그램

백도어(트랩 도어) : 기능에 허가받지 않은 접근 허용하는 프로그램의 변형

모바일 코드 : 스크립트, 매크로나 다른 이동성 명령어 같은 SW, 서로 성격이 다른 많은 플랫폼으로 옮겨서 실행 가능하고 같은 기능 수행

Exploit : 하나 혹은 여러 개의 취약점을 노리는 코드로 공격 시 타이밍 문제 또는 반복 작업 피하기 위해 적성된 자동화된 스크립트, 프로그램을 통칭

Downloaders : 공격을 받는 컴퓨터에 다른 아이템을 설치하는 프로그램으로 보통 전자우편을 통해 전달됨

Dropper : 공격 받는 컴퓨터에 설치되어 자신 내부에 있는 데이터 이용하여 악성코드 생성

Auto-rooter : 악성 해킹 도구로 새로운 시스템에 원격으로 침입할 때 사용하는 툴

Kit(Virus generator) : 바이러스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도구 모음

스패머 프로그램 : 원하지 않는 대량의 전자우편물을 보내는 데 사용

플러더(Flooders)(Dos Client) : 네트워크 컴퓨터 시스템에 대량의 자료를 보내어 서비스 거부 공격을 감행하는 데 사용하는 코드

Keyloggers : 피해를 입은 시스템의 키 입력 갈취

Rootkit : 컴퓨터 시스템에 침입 후 루트 수준의 접근허락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해커 도구모음

공격 킷(Attack kit) : 다양한 번식 방법과 payload 기술을 사용하는 새로운 악성코드를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툴의 모음

좀비(Zombie) : 감염된 컴퓨터에서 활성화되는 프로그램으로 다른 컴퓨터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는 데 사용됨

스파이웨어 : 컴퓨터에서 정보를 수집해서 다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SW

애드웨어 : SW에 내장된 광고, 감염 시 팝업 광고가 뜨거나 브라우저가 광고 사이트로 연결함

크라임웨어 : 온라인을 통해 불법적인 행동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

브라우저 하이재커 : 브라우저를 하이재킹하여 홈페이지와 검색 페이지, 툴바를 통제하고 조작하는 프로그램(잘못된 주소 입력 시 해커가 만들어논 사이트로 이동시킴)

다이얼러(Dialers) : 모뎀이 특정 번호(1-900)로 연결되도록 하여 전화 걸 때마다 공격자가 수익 얻게 만드는 프로그램

조크 : 실제 바이러스는 아니지만 사용자에게 심리적 위협을 주고 불안 조장하는 프로그램

Hoax : 남을 속이거나 장난을 목적으로 퍼트리는 가짜 바이러스로, 일반적으로 허위 바이러스 경고 메일형태